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경상도

부산 관광명소 가볼만한곳 갈맷길 투어 4,5,6구간

by 야무지게 아름다운 동행 2023. 7. 4.
반응형

부산 관광명소 가볼 만한 곳 갈맷길 4,5,6구간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이자 제1의 무역항이 있는 부산에서 갈맷길을 걸으며 아름다운 추억 한 페이지 만들어 보시면 어떨까요. 

 

 

부산 관광명소 가볼만한곳 갈맷길 4,5,6구간
↑ 민망한 인증샷 보기

 

부산 관광명소 가볼 만한 곳 갈맷길 4구간

4-1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남항대교를 건너며 바라보는 원경의 스카이라인과 남항의 홍등대와 백등대 안쪽 원도심과 자갈치 인근의 근경은 남항대교가 제공하는 팁입니다.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송도해수욕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설해수욕장으로 한때 한국 최고의 피서지였습니다.

이웃한 암남공원에는 용궁 구름다리와 두도전망대 등 트레킹 하기 좋은 명소가 아주 많습니다.

두도전망대를 지나 감천동으로 향하면 나누리파크, 감천사거리를 지나 감천항을 만나게 됩니다.

시작은 절영해안산책로관리센터 부산광역시 영도구 절영로 163번지이며  중간은 암남공원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공원로 185번지이고 종점은 감천항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항로 45번지입니다. 

4구간

4-2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천항은 예로부터 입항하는 선박들이 물을 받아가던 소중한 마을이었으며, 지리적으로 부산포와 가깝고 다대포로 가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였습니다.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군 주둔지, 한국전쟁 때는 영국군, 국방경비대(국군의 전신)가 주둔했던 역사적인 곳이었습니다.

감천항에서 구평을 지나 솔숲 두송반도를 일주하면 해안지형의 백화점인 다대포 지역으로 몰운대와 낙동강, 남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우거진 숲과 기암괴석의 몰운대는 안개와 구름이 끼는 날에는 섬 전체가 구름 속에 잠겨 보이지 않는다는 데서 유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다대포 앞바다에서 전사한 정운 장군 순의비와 다 대진 동현이 있는 역사의 현장으로 자연의 아름다움과 위대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시작은 감천항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항로 37번지이며  중간은 두송반도전망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4번지이고  종점은 몰운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469-8번지입니다.

4-3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몰운대를 지나 다대포해수욕장 낙조분수를 지나면 낙동강의 장엄한 해넘이와 갯벌을 볼 수 있는 고우니생태길이 있고, 아미산 전당대를 지나 응봉봉수대 쪽으로 올라가며 아름다운 낙동강 하구를 조망할 수 있는 아미산을 둘러 내려오면 형형색색 다양한 물감을 풀어놓은 것 같은 부네치아를 만나게 됩니다.

장림포구(부네치아)는 원래 김 생산지로 유명했던 곳이지만 이젠 알록달록 포토존 가득한 새로운 감각으로 대변신한 곳으로 인스타그램 사진 명소로도 아주 유명한 곳입니다.

시작은 몰운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 144번지이며 중간은 응봉봉수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1동 산 31-5번지이고  종점은 낙동강하구둑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163번지입니다.

 

부산 갈맷길 5구간

5-1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 낙동강하구 을숙도를 가로질러 사계사색 갈대 빛나는 명지 갯벌에 도래하는 겨울철새의 군무를 국내 그 어떤 곳보다도 가까이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신호대교를 건너면 낙동강 하구의 진우도와 저 멀리 뒤편 가덕도의 풍광이 뛰어나 머물고 싶을 정도입니다.

시작은 낙동강하굿둑(하단 쪽)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163번지이며 중간은 명지오션시티 부산 강서구 명지동 3308-3번지이며 종점은 신호항 부산 강서구 르노삼성대로 14번지입니다. 

5-2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녹산 해안길을 따라 걷다 보면 위풍당당한 부산신항이 반깁니다.

고향마을 같은 정겨운 골목길을 따라 선창을 지나 천가동으로 들어서면 대원군척화비가 있는 천가초등학교가 나타납니다.

연대봉에 올라서면 대마도가 지척이고 만경창파 남해가 시원합니다.

시작은 신호항 부산 강서구 르노삼성대로 14번지이며 중간은 천가교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5-11번지이고 종점은 지양곡안내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산 6-62번지입니다. 

5-3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육 수장망 숭어잡이로 유명한 대항에서 외양포 쪽으로는 가덕등대와 일본군 포부대가 온전히 남아 있습니다.

해안 숲길로 이어지는 누릉령, 어음포의 비경과 동선새바지가 나옵니다.

석화밭 위로 도요물 떼새들이 비상하는 눌차 정거생태마을을 돌아 나옵니다.

시작은 지양곡안내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산 6-62번지이며 중간은 동선방조제 부산 강서구 눌차동 141-20번지이고 종점은 천가교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5-11번지입니다.

 

부산 갈맷길 6구간

6-1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삼락둔치 갈대밭 사이를 걷는 비포장 들길입니다.

엄궁동 부분은 갈대습지로 형성되어 있고, 겨울철에 많은 철새들이 찾아오는 곳이고, 위로 올라가면서 갈대 및 갯버들 군락의 커다란 자연초지(일부 맹꽁이 서식지), 연꽃단지, 철새전망대, 시민들을 위한 체육시설들이 위치하고, 곳곳에 좋은 산책로가 있어 어느 계절을 걸어도 운치가 있으며, 특히 가을날 오후 엷은 햇살이 사방을 금빛으로 물들이는 때가 가장 좋습니다.

시작은 낙동강하굿둑(하단 쪽)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1163번지이며  중간은 삼락생태공원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29-72번지이고 종점은 도시철도 구포역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 1697번지입니다.

6-2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구포무장애숲길은 구포 한가운데 솟아 낙동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산책로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숲을 즐길 수 있어 맑은 공기를 마시며 아름다운 낙동강의 풍광을 즐기기에 최적입니다.

어어지는 천년 고찰 운수사에서 주례정으로 이어지는 임도는 백양산의 숲을 지나는 아름다운 산책로입니다.

시작은 도시철도 구포역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1060-22번지이며 중간은 운수사 부산 북구 모라동 산 110-1번지이고 종점은 주례정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 산 21-1번지입니다. 

6-3구간 코스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주례정에서 선암사 구간은 임도로 조성되어 있으며 바람고개를 넘어 백양대에서 조망하는 수원지 경관이 일품입니다.

편백숲이 울창한 성지곡 수원지는 동천의 발원지로 신라의 지관 성지(聖知)가 발견한 명당으로 예부터 한국의 명수로 이름난 데다 우리나라 최초의 돌붙임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 집수와 저수, 침전, 여과지로 향한 도수로 등이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된 수원지입니다.

대한제국 융희(隆熙)(1909년) 완공되었으며 국가등록문화재 제376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시작은 주례정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 산 21-1번지이며 중간은 선암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산 22번지이고  종점은 어린이대공원 입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295번지입니다.

6-4구간 코스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낙동강 줄기 따라 이어지는 화명생태공원은 누구나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길입니다.

어느 계절에 걸어도 운치가 있는데 이 길을 따라 걷다 보면 계곡 물소리가 조금씩 들려오는 대천천에 이르게 됩니다.

대천천에 있는 애기소는 아낙네가 주위의 경치에 정신이 팔린 나머지 아이가 익사한 것도 몰랐다고 하여 '애기소'라 불린다고 합니다.

조금 더 걸어가면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산성인 금정산성을 만나게 된다.

현재 일대를 차례차례 복원하는 중으로 시민투표를 통해 서문은 '해월문(海月門), 동문은 '관해문(關海門)'으로 결정되었다.

시작은 도시철도 구포역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247-5번지이며  중간은 화명수목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68-1번지입니다.  종점은 금정산성 동문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산 41-4번지입니다.

이상으로 부산 관광명소 가볼 만한 곳 갈맷길 4,5,6구간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6구간